728x90
데이터 스키마 자동 생성의 속성
persistence.xml 설정 파일에 가보면 데이터 스키마 자동 생성 옵션이 있다. (현재 프로젝트 maven 기준)
<property name="hibernate.hbm2ddl.auto" value="update" />
* 속성 종류
옵션 | 설명 | 운영서버 | 개발 초기 단계 | 테스트 서버 |
create | 기존 테이블 삭제(DROP) 후 다시 생성(CREATE) | X | O | |
create-drop | CREATE 후 종료시점에 테이블 DROP | X | ||
update | 변경된 내용만 반영 | X | O | O (비권장) |
validate | 엔티티와 테이블이 정상 매핑 되어있는지만 확인 | O | O | |
none | 사용하지 않음(옵션 자체를 주석처리 해도 됨) | O |
운영 장비에는 create, create-drop은 데이터가 다 날아가니까 절대 사용하면 안된다.
운영서버에 update를 하면 안되는 이유는 대량의 데이터를 가진 시스템에 자동으로 ALTER 명령어를 날리게 되면, 시스템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.
728x90
'인프런 김영한 강의 정리 >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기본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기본 | 기본키 매핑 | @id, @GeneratedValue (0) | 2024.06.10 |
---|---|
JPA 기본 | 필드와 컬럼 매핑 | @Column, @Enumerated, @Temporal, @Lob (0) | 2024.06.10 |
JPA 기본 | @Entity (0) | 2024.06.10 |
JPA 기본 | 영속성 컨텍스트 (0) | 2024.06.08 |
JPA 기본 | 회원관리 예제(회원등록, 조회, 수정, 삭제) (0) | 2024.06.08 |